학원에서 배운 내용들을 정리한 글입니다.
1. 생성한 클래스 spring bean으로 등록하는 방법
1) xml을 이용해서 등록하기 -> beans:bean태그를 이용
2) mvc기능을 하는 클래스 등록 -> 등록된 어노테이션을 이용(@Controller,@Service,@Repository)
3) 일반클래스 등록 -> @Component 어노테이션이용
4) 메소드 방식으로 등록 -> @Configuration클래스에 선언된 메소드 선언부에 @Bean 어노테이션적용
2. 등록한 spring bean spring에서 이용하기
- @Autowired어노테이션(@Inject)을 이용해서 자동 주입하여 사용
Spring webMVC controller
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고 응답을 처리해주는 클래스
클라이언트는 url요청을 보냄 -> controller의 특정 메소드를 실행!
controller메소드에 주소 맵핑 -> SpringFramework가 제공하는 어노테이션을 이용해서 맵핑
@RequestMapping("주소") : 요청 method가 get,post 모두 매핑
@GetMapping("주소") : 요청 method가 GET방식일 때 매핑
@PostMapping("주소") : 요청 method가 POST방식일 때 매핑
@PutMapping("주소") : 요청 method가 Put일 때 매핑
@DeleteMapping("주소") : 요청 method가 DELETE방식일 때 매핑
어노테이션 선언위치 : 메소드 선언부 위 [또는 클래스언선언부 위]
request에 저장한 값들 등..스프링에서 따로 보관하는 곳 ModelAndView (jsp에서 씀)
'스프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estful 방식으로 서비스 구현하기 (0) | 2024.02.25 |
---|---|
Spring에서 트랜잭션 처리하기 (0) | 2024.01.30 |
로깅(Logging) 시스템의 패턴 설정 (0) | 2024.01.25 |
인터셉터, AOP 설명 (0) | 2024.01.23 |
Spring, SpringBoot의 특징 (0) | 2024.01.22 |